마태복음 25장 40절 John의 칼럼 - 지극히 작은 자에게 한 사랑
“임금이 대답하여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니라 하시고”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의 삶을 인도하는 빛이다. 마태복음 25장 40절에서 예수님은 우리의 이웃, 특히 “지극히 작은 자”에게 베푼 사랑과 선행이 곧 그분께 드리는 헌신임을 분명히 말씀하신다. 존 웨슬리(John Wesley)의 관점에서 이 말씀은 단순한 도덕적 가르침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삶 전반을 관통하는 실천적 신앙의 핵심이다. 웨슬리는 신앙이 개인적 경건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회적 책임과 사랑의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하나님을 사랑하라, 그러므로 이웃을 사랑하라”는 원칙을 삶으로 보여주었다.
“지극히 작은 자”란 누구인가? 예수님은 가난한 자, 병든 자, 소외된 자, 억압받는 자를 가리키신다. 이들은 세상의 기준으로는 보잘것없으나, 하나님의 눈에는 그리스도의 형제요, 귀한 존재다. 웨슬리는 이 말씀을 통해 우리가 모든 사람, 특히 연약한 자들에게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그는 자신의 삶에서 가난한 이들을 방문하고, 병든 자들을 돌보며, 복음을 전하는 일을 멈추지 않았다. 이는 단순한 자선이 아니라,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에 구현하려는 거룩한 사명이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말씀을 어떻게 살아낼 수 있을까? 현대 사회는 여전히 가난, 불평등, 소외로 가득하다. 웨슬리의 가르침에 따르면, 그리스도인은 이러한 문제 앞에서 무관심하거나 방관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예수님은 우리의 선행이 그분께 직접 드리는 헌신이라고 말씀하셨다. 이웃에게 베푼 작은 친절, 나눔, 위로의 말 한마디가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가 된다. 예를 들어, 이웃의 필요를 살피고,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들을 돕거나, 소외된 이들과 시간을 나누는 것은 곧 예수님을 섬기는 행위다.
웨슬리는 또한 “거룩한 생활”을 강조하며, 신앙이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참된 믿음이 아니라고 경고했다. 그는 성경 말씀을 삶의 기준으로 삼아, 사랑과 정의를 실천하는 교회를 꿈꿨다. 마태복음 25장 40절은 우리에게 도전한다. “내가 너희에게 한 것”이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우리의 일상에서 이웃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돌아보게 한다. 우리는 과연 지극히 작은 자를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 우리의 시간, 물질, 마음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고 있는가?
이 말씀은 또한 심판의 기준을 제시한다. 예수님은 마지막 날에 우리의 믿음을 행위로 평가하신다. 웨슬리는 이 점을 깊이 깨닫고, 신앙과 행함이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했다. 그는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았으니, 그 은혜를 세상에 나누라”고 가르쳤다. 우리의 작은 선행이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씨앗이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매일의 삶 속에서 이 말씀을 실천해야 한다. 이웃을 사랑하고, 약한 자를 돕고, 정의를 세우는 일에 힘써야 한다. 이는 단지 도덕적 의무가 아니라, 예수님을 섬기는 기쁨이자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사명이다. 웨슬리의 삶처럼, 우리도 사랑과 헌신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자.
칼럼에 대한 질문:
1. “지극히 작은 자”를 오늘날의 맥락에서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2. 존 웨슬리의 관점에서, 신앙과 사회적 책임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3. 이 구절을 바탕으로,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랑의 행동은 무엇인가?
p.s: 진주 충만성결교회 김 목사
'John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119편 105절 칼럼 - 주의 말씀, 내 길의 빛 (0) | 2025.10.08 |
---|---|
고린도전서 3장 16절 칼럼 - 하나님의 성전, 우리의 몸과 마음 (0) | 2025.10.07 |
에베소서 2장 8절 칼럼 - 하나님의 은혜, 믿음의 선물 (0) | 2025.10.05 |
디모데전서 6장 11-12절 칼럼 - 믿음의 선한 싸움을 싸우라 (1) | 2025.10.04 |
디모데전서 4장 13절 칼럼 - 말씀과 가르침에 전념하라 (0) | 2025.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