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 3장 16절 John의 칼럼 - 하나님의 성전, 우리의 몸과 마음
“너희는 너희가 하나님의 성전인 것과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계시는 것을 알지 못하느냐”
우리의 몸과 마음이 하나님의 성전이라는 말씀은 깊은 감동과 책임감을 불러일으킨다. 존 웨슬리(John Wesley)의 관점에서 이 구절을 묵상할 때, 우리는 단순히 육신의 존재가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가 머무는 장소로 부름받았음을 깨닫는다. 웨슬리는 성령의 내주하심이 신앙의 핵심이며, 이를 통해 우리의 삶이 거룩함과 사랑으로 변화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성령의 인도하심 아래 회심과 성화의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는 삶을 설파했다.
고린도전서 3:16에서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그들이 하나님의 성전임을 상기시킨다. 당시 고린도 교회는 분열과 도덕적 혼란 속에 있었다. 바울은 이 말씀을 통해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의 성령이 거하는 거룩한 장소로서, 분쟁과 죄악에서 벗어나 하나 됨과 순결함을 추구해야 함을 역설했다. 웨슬리는 이 구절을 해석하며, 하나님의 성전인 우리 몸과 마음이 세상과 구별된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가르쳤다. 그는 성령의 내주하심이 단순히 개인적인 은혜에 그치지 않고, 공동체의 사랑과 섬김으로 나타나야 한다고 보았다.
웨슬리는 성화(聖化)를 신앙의 궁극적 목표로 삼았다. 그는 우리의 몸이 하나님의 성전이라면, 우리의 생각, 말, 행동이 모두 하나님께 드려져야 한다고 믿었다. 이는 우리가 세속적인 욕망이나 이기적인 삶에서 벗어나,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이웃을 사랑하고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삶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웨슬리는 가난한 이웃을 돕고, 병든 자를 돌보며, 사회의 불의를 바로잡는 일을 신앙의 실천으로 보았다. 그는 “하나님의 성령이 너희 안에 계시다”라는 말씀을 통해, 성령의 능력이 우리를 변화시키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도구로 사용된다고 확신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말씀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현대 사회는 물질주의와 개인주의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성전인 우리는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거룩한 삶을 살아야 한다. 이는 매일의 기도와 말씀 묵상, 그리고 이웃을 향한 사랑의 실천으로 시작된다. 웨슬리는 “완전한 사랑”을 강조하며, 하나님과 이웃을 온전히 사랑하는 삶이 성화의 열매라고 가르쳤다. 우리의 몸과 마음이 하나님의 성전이라면, 우리는 세상의 어둠 속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구절은 우리에게 큰 위로를 준다. 하나님의 성령께서 우리 안에 계시니, 우리는 결코 혼자가 아니다. 웨슬리는 성령의 내주하심이 우리를 죄의 유혹과 연약함에서 지켜주는 힘이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두려움 없이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갈 수 있다. 우리의 몸과 마음을 하나님께 드리며, 성령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는 삶을 살아가자.
칼럼에 대한 질문:
1. 우리의 몸과 마음이 하나님의 성전이라는 말씀은 일상에서 어떤 실천으로 나타날 수 있는가?
2. 존 웨슬리의 성화 교리가 오늘날 그리스도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3. 성령의 내주하심을 경험하기 위해 우리가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p.s: 진주 충만성결교회 김 목사
'John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사야 48장 17절 칼럼 -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르는 삶 (0) | 2025.10.09 |
---|---|
시편 119편 105절 칼럼 - 주의 말씀, 내 길의 빛 (0) | 2025.10.08 |
마태복음 25장 40절 칼럼 - 지극히 작은 자에게 한 사랑 (0) | 2025.10.06 |
에베소서 2장 8절 칼럼 - 하나님의 은혜, 믿음의 선물 (0) | 2025.10.05 |
디모데전서 6장 11-12절 칼럼 - 믿음의 선한 싸움을 싸우라 (1) | 2025.10.04 |